# Mime-Type
-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의 약자로 다목적 전자우편을 위한 인터넷 포맷을 뜻한다.
- 미디어 타입, Media-Type이라고도 부른다.
- 해당 타입으로 인코딩된 파일은 파일 정보의 앞에 데이터의 종류를 뜻하는 CONTENT-TYPE 정보를 담는다.
다양한 타입 데이터의 파일 변환을 뜻하며
웹을 통해서 동영상, 이미지 등 바이너리 타입의 파일을 ASCII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인코딩 방법
등장 배경
인터넷 초기에는 전자우편의 데이터 전송 시 ASCII (아스키 코드) 방식의 텍스트 데이터만을 전송했었으나
인터넷의 발전으로 이미지, 동영상 등의 바이너리 타입의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게 되며
바이너리 타입의 데이터를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할 목적으로 등장하게 되었다.
[참고] Mime-Type과 Content-Type 차이
타입 | 의미 |
Mime-Type | - 인터넷에서 데이터 형식을 식별하기위해서 사용되는 타입 |
Content-Type | - Http 헤더에 존재하는 매개변수 값 - 서버 혹은 클라이언트에게 어떤 유형의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. # 브라우저 : 개발자 모드에서 확인 # 서버 : 응답 및 요청 객체에서 setContentType, getContentType 메소드를 통해서 지정 및 확인 |
둘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지만, Content-Type은 웹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며, Mime-Type은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Content-Type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이다. |
[참고] 인코딩 & 디코딩
타입 | 의미 |
인코딩 | 바이너리 타입의 파일에서 ASCII 텍스트 파일로 변환 |
디코딩 | ASCII 텍스트 파일에서 바이너리 타입의 파일로 변환 |
[참고] 인터넷과 웹의 차이
인터넷은 컴퓨터간의 통신을 주고받는 네트워크이며
웹은 인터넷에 연결된 사용자들끼리 정보를 공유하는 무형의 공간으로서
웹은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여러 서비스(전자 우편 등) 중 한가지로 인터넷의 하위 개념에 속한다.
MIME-TYPE 구조 및 주요 타입
- 일반적으로 타입 / 서브 타입이라고 부르며 타입 구조는 소문자로 구성된다.
파일의 형식/파일 포맷
주요 타입 | 종류 | 의미 |
text (텍스트를 포함한 특정 문자셋으로 구성된 문서) |
text/plain | - 텍스트 파일을 위한 기본 값 - 서브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하며 따로 서브 타입이 있는 경우 명시해야한다. - 공백 문자 (Space)를 +로 인코딩 |
multipart | multipart/form-data | -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Html내 폼태그의 name값을 전송할 시 사용 - 문자를 인코딩하지 않으며 반드시 post방식으로만 전송된다. |
audio (오디오 파일) | ||
video (비디오 파일) | ||
application (바이너리 데이터 전송) |
x-www-form-urlencoded | - 서버로 전송 시 모든 문자 인코딩 - 맵핑주소?변수1=값1&변수2=값2 의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|
application/json | - api등에서 사용, JSON형태인 {key:value}의 형태로 전송 | |
application/xml |
- api 등에서 사용, XML 형식 그대로 데이터 전송 |
'Web > 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tc] 서버 & 클라이언트 (0) | 2025.01.10 |
---|---|
[Etc] 세션 트래킹 (0) | 2025.01.09 |
[Etc] Servlet Context (0) | 2025.01.09 |
[Etc] 디버깅 (0) | 2025.01.09 |
[Etc] Context (0) | 2025.01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