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Spring Framework 설치
(1) Tomcat Server 변경 및 Rerference 세팅 변경
[Html] Eclipse 설치
# Eclipse 설치(1) https://www.eclipse.org/ 에 접속 후 [Download] 선택 (2) [Download Packages] 선택(3) 컴퓨터 환경에 맞는 파일 선택(4) Apache Tomcat Install(4.1) Apache.org 사이트에서 ctrl + f로 tomcat 검색 후 선
hikr90.tistory.com
(2) 상단 메뉴 Help에서 [Eclipse Marketplace] 선택

(3) Spring STS 플러그인 설치 (Spring 사용환경 다운)
- Spring Tool Suite, 이클립스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용 도구
- STS 플러그인을 설치하거나 스프링 홈페이지 (http://spring.io) 에서 직접 다운로드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.
- 보편적으로 플러그인 방식으로 사용한다.

- required 표시가 있는 항목 외의 항목은 모두 체크 해제 후 Confirm으로 설치한다.
- 이클립스 첫 실행 시, Welcome 페이지가 나오거나 나뭇잎 아이콘이 있으면 정상이다.

(5) New > Other > [Spring Legacy Project] 선택


(6) Project Name 작성
- PROJECT NAME의 앞글자는 대문자로 작성한다.
- 패키지는 3단계의 형태로 구성되어있다, 이미지의 com.korea.test는 프로젝트.패키지.클래스를 뜻한다.


[참고] 패키지가 잘못 설치될 우려가 있으므로 프로젝트 생성 중에는 인터넷 작업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.
(7) 프로젝트 동작
- 프로젝트 우 클릭 후 Run as > Run On Server를 선택한 뒤 Finish 선택
[예시] HELLO WORLD 과정

(1) Run On Server를 통해서 web.xml 동작
(2) web.xml에서 Listener가 동작되며 감지자가 생성된다. (Listener는 감지자로서, Context를 감지한다.)
(3) Context Loader (감지자) 에서 Context를 읽어 Context -Param으로 파라미터를 넘긴다.

(4) Context를 참조하여 root-context.xml이 동작된다.

(5) root-context안에 있는 생성자, 셋터 Bean으로 객체가 생성된다.
- Bean은 VO등의 객체를 생성하는 영역으로 root-context에서는 new 키워드를 통한 객체 생성이 안된다.
(6) servlet-context가 호출되며 Controller가 생성된다.
(7) Home 컨트롤러가 동작하며 return 키워드를 통해서 home.jsp가 동작된다.
'Web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관점지향 프로그래밍 (0) | 2025.01.09 |
---|---|
[Spring] 어노테이션 (0) | 2025.01.09 |
[Spring] MVC 디자인 패턴 (0) | 2025.01.09 |
[Spring] 의존성 주입 (0) | 2025.01.09 |
[Spring] Framework (0) | 2025.01.09 |